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와 종류 정리

반응형

이번에는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차이와 종류에 대하여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2020년 공인인증서가 폐지되었고 어느새 2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는데요. 기존의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며 다양한 인증서가 제공되어 우리는 더 간편한 인증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중 은행과 공공기관에 로그인 또는 인증, 서명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인증서가 바로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인데요. 해당 글을 통해 2가지 인증서의 차이와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1. 금융인증서 특징

→2. 공동인증서 특징

→3. 인증서의 차이

2. 간편인증(민간인증서)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먼저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특징과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온라인 뱅킹이나 정부24, 홈택스와 같은 공공기관의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면 로그인 또는 인증을 위해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금융인증서 특징

첫 번째로 금융인증서는 금융결제원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저장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새로운 인증서입니다. 공동인증서와 동일하게 인증과 서명을 위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개발을 진행한 금융결제원에서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평소에 거래하는 은행의 온라인 뱅킹을 통해 발급받아볼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인증센터의 금융인증서

 

또한 기존 공인인증서가 1년의 유효기간을 제공하여 만료가 되어갈 때 직접 갱신을 진행했었어야 했다면, 금융인증서는 3년의 유효기간을 제공하며, 별도의 정보변경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갱신이 진행된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금융인증서를 발급받고 싶다면, 평소 거래하는 은행의 모바일 뱅킹 또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여 인증센터 메뉴를 통해 발급 절차를 진행해 보시길 바랍니다.

 

 

공동인증서 특징

두 번째로 공동인증서는 사실 기존의 공인인증서가 "공인"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명칭이 변경된 인증서로 기존과 동일하게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금융결제원 등 6개의 지정기관에서 발급이 진행되며, PC, 스마트기기 또는 USB 등 발급자의 기기에 인증서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유효기간의 경우 앞서 설명했던 것처럼 1년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만료시점이 도래할 때 직접 발급 기관에 접속하여 갱신을 진행해야 합니다.

 

인증서의 차이

위에서 2가지 인증서의 큰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봤다면, 정확한 차이를 다음의 표를 통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발급기관 금융결제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6개 지정기관
보관방식 클라우드 서버 저장 발급자의 기기에 직접 저장
유효기간 및 갱신 3년, 자동갱신 1년, 직접갱신
보안 프로그램 불필요 설치 필요
비밀번호 방식 6자리 숫자 10자리 영문, 숫자, 특수문자 조합

 

간편인증(민간인증서)

추가로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를 제외하고,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인증수단이 하나 더 존재하고 있습니다. 바로 간편인증 수단으로 이용되는 민간인증서인데요.

 

간편인증의 경우에도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며 민간 기업에서 인증서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고, 현재 카카오인증서와 네이버인증서, KB국민인증서 등으로 각 기업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정부24에서 이용 가능한 간편인증 수단

 

간편인증은 명칭이 모두 다르게 제공되고 있다 보니 공동인증서와 비교되는 일이 많지는 않지만, 금융인증서와 비슷하게 서비스되고 있는데요. 발급은 카카오톡과 네이버, 국민은행 등과 같이 각 기업에서 서비스하고 있으며, 짧게는 1분, 길게는 3분 정도의 시간으로 간단한 발급 절차를 진행해 볼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인증서마다 차이는 있지만, 발급을 진행한 스마트폰의 앱에서 보관이 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인증을 진행할 때에도 인증요청을 발송하면 인증서가 보관된 앱을 통해 확인 후 인증이 완료되는 형태로 이용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2년~3년의 유효기간이 제공되며, 발급이 간단한 만큼 재발급 또는 유효기간 갱신이 필요하다면 다시 인증서를 발급하는 방식으로 간단한 갱신을 진행해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할 수 있는 민간인증서는 카카오와 네이버, NH모바일인증서, KB국민인증서, 토스인증서, 페이코인증서, 통신사 PASS 인증서 등이 있으며, 기존 간편인증이 가능했던 55개의 공공 온라인 서비스에서 2023년을 기준으로 인증 가능한 공공 서비스가 110개로 확대된다고 하니 공동인증서를 대체하고 싶다면 간편인증을 발급받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 함께 보기 좋은 글

 

- KB국민인증서 발급 방법 및 한도 정리

- 통신사 PASS 인증서 발급 및 사용 방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